로그인
회원가입
즐겨찾기
Toggle Search
Toggle Gnb
Toggle Lnb
Since 1978 ilsong News Group Inc.
로그인
회원가입
즐겨찾기
News
Healing
Food
Biome
Nature
Art
History
Center
공지사항
행사/이벤트
활동갤러리
기사제보
자유게시판
일송재단공지
전체메뉴
News
Healing
Food
Biome
Nature
Art
History
Center
회사소개
일송뉴스
닫기
News
Healing
Food
Biome
Nature
Art
History
Center
공지사항
행사/이벤트
활동갤러리
기사제보
자유게시판
일송재단공지
검색
검색
검색 닫기
일송뉴스
Biome
HOME
>
Biome
기생충
2020-01-16
노인성 체취 “헥세날” 때문
2019-08-24
죽음의 녹조 속에서도 희망은 피어오른다.
2019-05-18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의 기본 | DRG해외보고서
2019-04-21
개똥도 약에 쓰려니 없다?
2019-04-03
불멸의 미생물
2019-04-03
인간과 미생물의 삶과 죽음
2019-04-03
식물이 산소를 만든다고요?
2019-04-03
기생충의 역설
2019-04-03
미생물의 의식주를 찾아서
2019-04-03
미생물농법이 반드시 필요한 이유 1
2019-04-03
디스바이오시스(Dysbiosis)로 아토피 발병
2019-04-01
기생충
기생충 이유미 UN생물다양성한국협회 이사장/ 일송재단 국제농업개발원 원장, 이사장/ 한국마이크로바이옴협회 공동대표/ 바른몸관리지도사 양성 요새 기생충이 뜬다. 기생충 영화로 한국의 위상을 세계에 떨치고 있는 와중에 암환자...
노인성 체취 “헥세날” 때문
김심철 약산bio 본부장, 한국마이크로바이옴협회 사업본부장 림프순환장애로 피지의 지방산이 완전연소 되지 못하고 노폐물 분해와 배출이 늦어서 모공을 막고 있다가 공기 중의 유해균에 의해 부패되면서 노인성 체취가 되고 피부건조...
죽음의 녹조 속에서도 희망은 피어오른다.
역사가 짧은 산업사회는 세상을 온통 석유로 물들여 바다 생태계에도 미세플라스틱과 항생제, 핵발전소 폐기물에서 흘러나온 죽음의 물질로 가득차고 있다. 그런데 자연의 이치에는 음과 양이 존재하고 독이 있으면 해독하는 것도 존재하고 질병이...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의 기본 | DRG해외보고서
押さえておきたいマイクロバイオーム治療の基本|018/10/16DRG海外レポート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의 기본 | DRG해외보고서 2018/10/16 DRG海外レポート 번역 오마니나 미국에 본사를 둔 컨설팅 기업 Decision Reso...
개똥도 약에 쓰려니 없다?
똥밭에 굴러도 이승이 좋다는 말은 인생의 가장 더럽고 낮은 곳에 똥이 존재함을 일컫는 말이다. 그러나 우리의 문화 속에는 똥과 관련된 문화가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 똥과 오줌이 약이 된다 똥과 오줌을 귀한 약재로 심하게 두드려 ...
불멸의 미생물
2억3000만 년 전에 출현해 1억6500만 년을 생존하다가 빙하기로 인해 자취를 감춘 공룡을 비롯하여, 수 없이 많은 종들이 지구상에 존재하다가 사라졌다. 지구의 역사상 가장 오래되었고 지금까지 현존하며 미래에도 존재할 생명체, 그...
인간과 미생물의 삶과 죽음
어느 날 어린 아들이 학교에서 돌아와 엉엉 울고 있었다. 할머니가 죽었듯 엄마도 언젠가는 죽고 자기 또한 죽는 존재라는 것을 배운 것이다. 소중한 엄마가 죽는다는 건 엄마 없이 살아갈 수 없는 어린 아이에겐 끔찍한 일이고, 한창 재미...
식물이 산소를 만든다고요?
식물이 산소를 만든다는 말은 반은 맞고 반은 들린 말이다. 과학이 발달되면서 광합성을 하는 미생물의 정체가 밝혀진 것이다. 인간의 장에서 우리가 먹은 음식물이 분해되어 장에 흡수되는 과정에서도 미생물이 없이는 아무 것도 이뤄지지 않는...
기생충의 역설
7080시대 사람들은 대변검사의 에피소드를 한두 가지씩 가지고 있다. 우리가 어릴 때는 농약도 별로 없고 살균, 소독이 드물었던 시대였다. 그래서 배추를 사면 배추벌레가 파먹은 이파리가 흔했다. 무당벌레가 붙은 야채를 어린 나는 호기...
미생물의 의식주를 찾아서
식(食) ; 먹고 회피한다 인간처럼 미생물도 생존을 위해 의식주가 필요하다. 제대로 된 의식주가 없다면 추위와 더위에 떨고 굶거나 휴식을 취할 수가 없을 것이다. 생명체인 미생물에게도 인간과는 좀 다르겠지만 생존을 위해 일단 먹어야...
미생물농법이 반드시 필요한 이유 1
버섯 노균 관행농법을 해오던 대부분의 농업인들은 갑자기 미생물농법이란 말이 나오면서 언뜻 이해되지 않고 어떤 방식인지 혼란스러울 수 있다. 최첨단 미생물농법의 나라 그런데 실은 이름붙이지 않았을 뿐 우리 조상들은 오래전부터 미생...
디스바이오시스(Dysbiosis)로 아토피 발병
피부와 장을 비롯한 인체에는 수많은 세균이 공생한다. 그 종류는 수천, 숫자는 수천 조에 달하며 다양한 인체 미생물의 균형이 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은 피부트러블 유발 미생물이 일으킨다 인체의 70%나 되는 면역...
장내 미생물이 나쁘면 건강식도 무용지물이다
고령화와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성인병이 이제 아이들에게까지 발생하고 있다. 주요 사망원인으로 꼽히는 동맥경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동맥경화는 왜 걸릴까? 동맥경화는 고혈압과 당뇨, 흡연과 비만, 고지혈증으로 인해 발병하는데, 증...
내가 아닌 ‘장내미생물이 좋아하는 음식’을 먹어라
현대인들은 자극적인 맛에 길들여져 있다. 혀가 행복한 먹거리에 중독되다보니 장내 미생물들은 죽을 맛이다. 먹거리가 변하면 건강이 변하는 이유는 그 먹거리를 먹고 인간과 공생하는 장내미생물의 변화 때문이다. 가축도 항생제를 먹으면 비...
기생충이 사람을 조종한다?
언젠가 방송에서 국민 25%가 고양이 기생충 보균자로 특히 임산부에게 치명적이라고 하여 논란이 된 적이 있다. 고양이를 숙주로 하여 사람과 다른 동물에게 감염을 일으킨다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톡소포자충의 알을 먹은 쥐에게 주로 ...
모유 속 올리고당 ‘미생물의 먹이’
언젠가부터 인간이 소의 젖을 먹고 자라는 상황이 되었다. 그 시발점이 바로 축산업의 확산이다. 우유가 완전식품이라느니, 건강식품이라면서 갓 태어난 아이에게 분유를 권하던 사회는 여성의 사회참여와 더불어 이익집단과 야합한 병원과 사회의...
‘건빵메주’로 10분에 뚝딱 ‘장 만들기’
집집마다 장을 담궈 아파트라 할지라도 작은 장독대를 되살리는 것이 생명살림의 기초가 된다. 주부가 가족을 살리는 살림을 하지 못하게 된 가장 큰 원인이 장 만들기를 포기한 것이다. 일송재단 국제농업개발원에서 장독대 되살리기 운동을 하...
전통누룩 재현으로 술의 독립선언
(주)한국발효 정철기 대표 한국은 일제강점기를 지나 남북한이 갈리는 불완전한 독립상태이다. 하지만 우리의 술문화는 아직도 강점기 상태를 벗어나지 못한 채 일부 가양주를 중심으로 술문화가 되살아나고는 있지만, 국민대다수가 마시는 막걸...
공중부양’ 대신 미생물 배양 … 농업·식탁 혁명 꿈꾼다
강기갑(65) 전 국회의원(민주노동당·통합진보당)이 고향인 경남 사천에서 농사를 짓고 있다. 질풍노도와 같은 8년간의 여의도 ‘파견 근무’를 마치고 본업으로 돌아가 2012년부터 6년째 매실과 가축을...
“제2회 마이크로바이옴 산업화 국회포럼”
11월 13일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제2회 마이크로바이옴 산업화 국회포럼”이 개최되었다. 한국마이크로바이옴협회와 마이크로바이옴 산업화국회포럼이 주최하고, 윤소하 국회의원이 주관하고 농림축산식품부, 남양...
1
2
3
4
5
6
7
8
9
10
다음
>>
최신뉴스 보기
스트레스와 시력관리
몰라서 두려운 암. 알면 두렵지않다.
천사봉 유미테라피 질문과 답변
유방암 예방관리는 가슴근육풀기로 시작하자
양날의 칼 "칼슘 패러독스"
인체 밧데리
간질환을 스스로 예방관리하는 방법
심장병에 대하여
심장마비와 맥박과 혈압
가장 위험한 선택 "진통제"
일송뉴스
주간인기뉴스
천사봉 유미테라피 질문과 답변
스트레스와 시력관리
사랑하려면 자석놀이를 해라
사혈부항과 발포부항(흡선부항)의 심각한 폐해
암환자들은 왜 물을 잘 안마실까?
양날의 칼 "칼슘 패러독스"
심장마비와 맥박과 혈압
인체 밧데리
뼈 골밀도 높이는 최고의 방법
간질환을 스스로 예방관리하는 방법
HOT 포토
더 보기
김극기 신임원장 이취임식
올해 여름휴가는 국내에서 저탄소 농산물과 함께
행복한 미래로 초대”2014 생명산업대전
(주)서진 정인재 대표, 경북 김천 포도농가에서 품질평가회 가져
인물
더 보기
배계주 초대 울릉군수의 외증손녀 이유미 이사장
카드뉴스
더 보기
어디로 가니, 고라니 한 마리
Biome
더 보기
기생충
기생충 이유미 UN생물다양성한국협회 이사장/ 일송재단 국제농업개발원 원장, 이...
노인성 체취 “헥세날” 때문
죽음의 녹조 속에서도 희망은 피어오른다.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의 기본 | DRG해외보고서